# AWS Rekognition 은 AWS에서 제공하는 이미지, 동영상 분석 API 로 보면 된다. 주요기능은 다음과 같다.
1. 이미지 분석
1) 객체 및 장면 감지
- 이미지에 있는 피사체, 개념, 장면에 대해 분석하여 데이터 값을 전달함.
이와 같이 JSON 형식으로 값을 반환한다.
각 데이터의 의미는 아래와 같다.
Name : 사물의 명칭.
Confidence : 신뢰도. (ex. 해당 사물이 스케이트보드일 확률)
Instances : 사물의 사진속에서 위치 값 및 크기.
Parent : 해상 사물이 속해있는 그룹.
2) 얼굴 분석
- 이미지 속에 사람의 얼굴에 대한 분석. (감정, 악세서리, 표정, 성별, 나이 등)
많은 데이터를 전달 받으며, 추가적인 데이터는 데모 페이지에서 확인해보면 된다.
각각의 항목에 대해 신뢰도를 같이 제공하여, 사용할 수 있는 데이터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.
3) 유명인사 인식
- AWS에 내장 되어있는 유명인사의 얼굴을 검출할 수 있다.
- 유명인사의 경우 "Urls" 키 값에 해당 인물을 찾아볼 수 있는 사이트도 함께 제공됨을 볼 수 있다.
4) 이미지 내 텍스트 분석
- 이미지에는 짤렸지만, "Polygon" 키 값에 각 문자별 위치값도 표출된다.
2. 동영상 분석
- JSON 파일은 데이터가 너무 많아 생략한다.
- 추출 값으로는 [인물별 출연되는 동영상 위치값], [행동], [얼굴분석], [사물분석], [유명인사] 등이 있다.
# 추가적으로 사진과 동영상 모두 노골적이거나 선정적인 이미지 등 성인콘텐츠를 감지할 수 있다.
3. 얼굴 비교
1) 사진 vs 사진
- 사진 속 얼굴을 분석한 후 다른 사진에서 해당 인물과의 유사도를 추출할 수 있다.
- 해당 분석은 눈, 코, 입 등의 위치과 간격, 크기를 기준으로 분석하는 것으로 보인다. 화질과 각도에 따라 유사도가 차이가 있을 수 있음을 유의하여야 한다.
2) 사진 vs 동영상
- 이 방법은 직접 사진과 동영상을 비교한다는 느낌보다는 저장된 얼굴 분석값과 동영상을 비교한다고 볼 수 있다.
# Collection 이란?
- 얼굴을 저장해 두는 공간이라고 생각하면 쉽다. 얼굴분석(FaceDetecting) 으로 얻어진 결과값을 저장하는 공간으
로 최대 약 20만개(차이가 있을 수 있음)를 담을 수 있으며, 여기에 담겨진 얼굴 값과 사진, 동영상과의 유사도 분
석이 가능하다.
# 이런 기능을 활용하여 다양한 분석 프로그램을 만들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. 더 자세한 내용을 확인하고 싶으면 AWS 홈페이지에서 확인이 가능하다.
[참고 사이트]
https://ap-northeast-2.console.aws.amazon.com/rekognition/home?region=ap-northeast-2#/
https://docs.aws.amazon.com/ko_kr/rekognition/latest/dg/what-is.html
# 각 기능에 대한 활용법 또한 위 사이트에 자세히 나와있으며, 다음 글 부터 작성해 나가기로 한다.
'AWS > Rekognition' 카테고리의 다른 글
2-2. 얼굴 분석 (detect_face).. (0) | 2019.08.08 |
---|---|
2-1. 이미지 분석(detect_labels).. (0) | 2019.08.08 |
1. Rekognition 사용전 기본세팅.. (0) | 2019.08.08 |